전체 글26 구룡 공소 - 용성 성당 ● 유래 구룡공소는 한국 천주교 순례지 중에서 비교적 다녀오기 힘든 곳 중에 하나입니다. 산골짜기 외길에서 반대편으로 지나가는 차량이라도 만나면 서로 간에 아주 피곤한 상황이 연출되는 곳이기 때문인데요. 하늘 아래 첫 동네라고 불릴 정도로 첩첩산중에 위치하고 있어서 도로의 상태나 폭이 좁다 보니 중급 운전자라 하더라도 후진으로 한참 동안 절벽길을 운전하기가 그리 쉽지는 않습니다. ● 근황 구룡 공소는 한때는 60여 명의 신자가 있을 정도로 준성당으로 축성까지 되었습니다. 한국전쟁 기간인 1952년 10월에는 빨치산들이 공소예절을 위해 모여있는 신자들에게 마구 총을 난사하고 갔는데, 단 한 명도 부상을 입지 않았다고 전해집니다. 구룡 공소는 대구 경북의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몸을 숨기며 신앙을 이어갔던 곳.. 2023. 3. 5. 곤의골 공소 - 영산성당 ● 공소 유래 곤의골 공소의 기원은 1839년 기해박해와 1846년 병오박해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박해를 피해 세 가족이 관아의 눈을 피해 첩첩산중을 헤매다가 이곳에 정착한 신앙의 역사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름도 없던 산골 오지에 곤의(곤란을 당했어도 의롭게 산다는 뜻)라 이름을 붙이고 후에 곤이골이 되었다가 현재는 고니골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공소 근황 박해시기에 소문을 듣고 암암리에 몰려든 신자로 인해 점차 신앙촌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윽고 1969년에는 187명까지 신자 수가 증가했다고 전해집니다. 매달 첫째 주에 관할 성당인 영산 성당에서 신부님이 공소에서 미사를 집전하시는데 코로나로 인해 임시로 폐쇄되기도 했습니다. 미사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관할 성당인 영산 성당에 문의하시기 .. 2023. 3. 5. 사창리 공소 - 향남 성당 ● 유래 사창리 공소는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사창리에 1970년 설립된 공소로 천주교 수원교구 향남 성당 관할입니다. ●근황 현 건물은 1982년 5월에 32평의 벽돌 건물로 강당을 건립하여 활발한 활동이 전개되며 2016년까지 공소예절과 월 1회 미사가 집전되었으나 공소 구성원의 노령화와 신자 수의 감소로 2017년 1월을 끝으로 폐쇄됩니다. 그러나 다시금 2019년 12월부터 개장되어 공소예절과 미사가 집전되고 있습니다. ●기타 공소 바로 옆에는 공소 터를 내어주는 등의 독실한 신자인 송기덕 님의 개인 박물관인 '우암 기념관'이 자리하고 있으므로 그간의 개인적으로 수집한 가톨릭의 귀중한 사료들을 구경하는 시간도 좋은 선택입니다. ●공소위치 주소: 경기 화성시 양감면 정문회화로 21-6 ● Origin.. 2023. 3. 5. 대광리 공소 - 상리 성당 ● 공소유래 대광리 공소는 경기도 최북단에 있는 공소로 1957년 6월 4일 철원 본당 관할로 공소예절을 드리다가 1963년 행정구역이 강원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됨에 따라 동두천 본당 관할로 이관됩니다. 1967년 가을 동두천 본당 제5대 이창숙 그레고리오 신부 시절 공소를 설립하여 윤공희 대주교의 집전으로 낙성식을 거행합니다. ● 공소연혁 1979년 5월 31일 전곡 공소가 본당으로 승격하면서 전곡 성당 관할이 되었고, 1988년경 공소 건물이 낙후되어 신자들이 건물을 신축하려고 모금을 시작하여 1989년 3월경에 전곡 성당 제4대 김정남 안드레아 신부 시절에 기존 시멘트벽돌 건물을 철거하고 김창래 요셉 형제님을 건축추진 위원장으로 위촉하여 1989년 11월 27일 현 적벽돌 건물로 신축하고 김수환 추기.. 2023. 3. 5. 교동공소 - 하점성당 ●공소유래 천주교 인천교구 하점성당 관할의 강화도 교동 공소는 한국전쟁으로 연백군과 개성 등지에서 피난 온 교우들이 신앙공동체를 이루고 공소예절을 올리면서 1958년 1월에 설정된 공소입니다. ●공소현황 청주교구에서 사목하시다가 은퇴하신 후에 2004년부터 교동 공소에 머무르시면서 공소를 돌보시는 미국 메리놀 외방 선교회 로베르토 라파엘로 펠리니(방인이) 신부님이 93세의 연세로 아직도 미사를 집전하시고 계십니다. 비록 대교로 이어져 있다고는 해도 강화도를 지나 군사분계선 부근의 교동도는 목적지와 개인 신상을 밝히고야 통행이 가능합니다. ●공소위치 주소 : 인천시 강화군 교동면 대룡안길45번길 11 ● Originated from the indictment Ganghwa-o Gyodong Gongso, .. 2023. 3. 5. 사랑골 공소 - 유구 성당 ●사랑골 공소 박해 시기에 산으로 피해가 숯을 굽거나 옹기를 만들어 생계를 유지하던 교우촌이 박해가 끝나면서 산골을 벗어나 평지에서 새로 공소를 설립한 곳들이 있는데 사랑골 공소도 이에 해당되는 곳입니다. ●공소유래 1906년 김치삼 일가를 비롯한 다른 세 가족이 이주하여 교우촌을 이루게 된 것을 기점으로 1909년 공소가 설립되며, 이후 공주 지역의 못자리 성소를 이루면서 1957년 현재의 건물이 건립됩니다. ●공소현황 이후 종탑의 증축을 거치면서 1983년 성모상이 봉헌될 정도로 신자 수가 증가되었으나 모두가 도심으로 떠나간 지금은 대전교구 유구 성당의 공소로 남아있습니다. 공소 내부에 비치된 가계도에는 사랑골 출신에서 많은 성직자들이 배출되었음을 보여줍니다. ●공소위치 주소 : 충남 공주시 평화길 .. 2023. 3. 5. 실레마을 공소 - 스무숲 성당 ●실레마을 안내 김유정역은 한국 철도역사에서 최초로 사람 이름을 역명으로 지정한 곳입니다. 김유정의 작품 속에 통째로 묘사되어 등장하는 실레마을에도 작고 예쁜 실레마을 공소가 있습니다. ●실레마을 현황 김유정역 주변에 있는 문학촌을 돌아보는 것도 좋고 지금은 사용하지 않지만, 옛날 김유정 역사에 놓인 열차에 올라보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건너편에 자리한 실레마을 공소에서 소박한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천주교 신자가 아니라고 해도 추천드릴 만 한 장소입니다. ●실레마을 공소 원래 공소는 신부님이 상주하지 않는 곳을 칭하는데요. 간혹 사제관이 딸린 공소에는 지역 사목에 힘쓰고 있는 본당 신부들의 수고를 덜어주기도 할 겸 해서 은퇴하신 원로 신부님들이 관리하며 상주하고 미사를 주관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현.. 2023. 3. 5. 충북 제천, 배론성지 유래와 현황 및 위치 ■ 배론성지 유래 배론성지는 1801년 황사영 알렉시오 순교자가 박해를 피해 토굴에 숨어 살며 백서를 작성한 곳입니다. 또한 배론성지는 1855년에 장주기 요셉 성인에 의해 신학교가 처음으로 설립된 곳입니다. 그 외에도 가경자로 선포된 한국의 2대 사제인 최양업 토마스 신부님의 묘가 있는 곳으로 최양업 신부님의 일생을 기념하는 조각 공원도 조성되어 있습니다. ■ 배론성지 현황 배론성지는 원래 옹기를 굽는 교우촌이었으나 박해로 파괴되고 다시금 신학교로 문을 열지만, 또다시 관련자들의 순교로 폐교를 당하는 수난을 겪게 되지만, 그분들의 고결한 믿음의 씨앗은 확실하게 뿌리내려 오늘의 한국 천주교의 바탕이 되었습니다. 성지를 방문하면 성전을 지나 흙길을 밟으며 십자가의 길을 돌아도 좋고, 아니면 성전 건너편으로.. 2023. 3. 5. 이전 1 2 다음